[COVID19] | |
---|---|
COVID-19 in 2020 |
Session director 윤영훈(고려의대 응급의학과), 최민정(아주의대 응급의학과) |
2020년 코로나 바이러스의 Pandemic 유행에 대해 지금까지 알려진 코로나 바이러스의 역학적 특성, 병태생리 및 임상양상의 정리와 함께 각 국의 코로나 바이러스에 대한 대처를 알아보고 향후 의료 정책의 변화에 대해 논의한다. | |
코로나 바이러스에 대해 지금까지 알려진 것 | 김우주 (고려의대 감염내과) |
전세계의 코로나 바이러스에 대한 정책 및 그 효과 | 이희영 (서울의대 공공의료사업단 임상예방의학센터) |
포스트 코로나 시대의 새로운 감염병 정책에 대한 필요성 | 이재갑 (한림의대 감염내과) |
새로운 감염병 시대에 응급의료 체계의 변화 | Session director 윤영훈(고려의대 응급의학과) |
감염병 창궐에 대한 역사적인 대처에 대해 정리하고 COVID-19 에 대한 응급의료체계의 대처와 그 문제점에 대해 논의하며 향후 효과적인 응급의료체계에 대해 정부정책의 방향을 알아본다. | |
감염병에 대한 의료계의 대처의 역사 | 정혜선 (가톨릭의대 예방의학교실) |
COVID-19에 대한 응급의료체계의 대처와 그 문제점 | 강형구 (한양의대 응급의학과) |
포스트 코로나 시대의 새로운 감염병에 대한 응급실의 새로운 모델 | 박인철 (연세의대 응급의학과) |
EMS response to COVID-19 (코로나19의 병원전단계 대응) | Session director 박정호(서울의대 응급의학과) |
COVID-19 유행시기에 감염병 의심 환자에 대한 구급대 대응은 환자에게 적절한 치료 제공을 하는 동시에 안전하고 지속가능한 구급대 운영에 대한 고려가 필요하다. 본 세션에서는 국내 코로나19 구급대 대응 계획 수립 및 적용 과정을 살펴보고, 감염병 의심 환자의 구급대 대응에서 중요한 문제로 대두되고 있는 이송병원 선정과 관련된 현황과 문제점을 살펴보고자 한다. 아울러 코로나19 대응과 관련된 병원전단계 가이드라인을 리뷰하고자 한다. | |
코로나19 구급대 대응 계획 수립 및 적용 | 이오숙 (소방청 코로나19 구급대응과장) |
감염병 의심 환자의 구급대 이송병원 선정 | 홍원표 (소방청 중앙구급상황관리센터장) |
코로나 19 대응 병원전단계 가이드라인 리뷰 | 최정우 (원광의대 응급의학과) |
COVID-19 Diagnosis (COVID-19 진단) | Session director 조영순(순천향의대 응급의학과) |
COVID-19의 영상 및 진단검사의학적 진단에 대해 알아 본다. | |
COVID-19 임상의학적, 영상의학적 진단 | 조영재(서울의대 호흡기내과) |
COVID-19 진단검사의학적 진단 | 이혁민(연세의대 진단검사의학과) |
COVID-19 Treatment (COVID-19 치료) | Session director 황승연(성균관의대 응급의학과) |
새로운 코로나바이러스(SARS-CoV-2)로 인한 호흡기 감염(COVID-19)이 2019년 12월 중국 우한에서 시작되어 현재 전세계로 급속히 확산되었다. 이로 인해 수 많은 사망자가 발생하고 있으며 보건학적인 문제 뿐 아니라 각종 사회경제적 문제를 야기 하고 있다. COVID-19 확진자가 전 세계에서 속출하자 WHO는 3월 11일 홍콩독감(1968), 신종플루(2009)에 이어 사상 세 번째로 COVID-19에 대해 pandemic을 선포했다. 이전의 SARS나 MERS 사태를 통해 우리는 전염병 발생과 관련한 응급실의 대비 태세, 각종 개인보호장구의 사용, 환자의 선별진료 등 여러 측면에서 많은 교훈을 얻었다. 병원의 주요 관문인 응급실에서 근무하는 응급의학과 의사로서 이러한 전염병에 대해 항상 경계심을 갖고 대비하는 자세가 필요하다. 이번 세션에서는 최근 전세계적인 문제를 유발하고 있는 COVID-19 환자의 치료와 백신개발의 현주소에 대해 정리하고자 한다. | |
Managing critically ill patients with COVID-19 | 최은영 (영남의대 호흡기·알레르기내과) |
Racing for a cure: where are we with COVID-19 vaccines and treatments? | 고재훈 (성균관의대 감염내과) |
[Essentials for emergency medicine; Pediatric and geriatric emergency medicine] | |
How to take good care of pediatric patients 소아환자 잘 보는법 | Session director 최재연(가천의대 응급의학과) |
우리나라 응급의료는 국제적으로 우수한 수준을 자랑하지만 소아응급의료와 관련해서는 아직도 많은 응급실 의료진들이 '소아'와 '응급'에 대해 부담을 가지며 시설과 인력에도 부족을 느끼고 있습니다. 소아응급환자 진료에 대한 부담을 줄여주고자 이번 연수강좌에서는 응급실에서 만나는 흔한 주증상을 중심으로, 환자를 어떻게 접근하고 검사하고 또 처치해야 잘 보는 것인지에 대해 준비하였습니다. 첫번째는 '발열'을 주제로 응급실 소아 발열환자에 대한 진단적 접근과 기본적인 항생제 처방에 대한 내용을, 두번째는 '복통'환자를 잘 보기 위한 무기인 초음파 활용에 대한 강의가 이루어 집니다. 세번째는 '호흡곤란'을 주제로 소아 기계환기 시작에 대한 팁을 알려드리고자 합니다. | |
발열환자 잘 보기: 소아 발열환자의 진단과 항생제 처방 | 윤서희 (연세의대 소아응급의학과) |
복통환자 잘 보기: 소아 복부초음파 기본 다지기 | 최우성 (가천의대 응급의학과) |
호흡곤란환자 잘 보기: 응급실에서 소아환자 기계환기 시작하기 | 이봉진 (서울의대 소아응급의학과) |
Initial assessment and management of pediatric trauma patients 소아 외상 환자의 초기 평가와 처치 | Session director 박중완(서울의대 응급의학과) |
외상은 어린이 사망 및 장애의 주요 원인으로 흔하게 발생하지는 않지만 중증 소아 외상 환자의 경우 초기 평가 및 처치가 매우 중요하며, 적절한 평가 및 그에 따른 처치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아 안타까운 결과를 가져왔던 국내 사례들이 있어왔다. 성인 외상환자의 평가와는 달리 아직 소아 외상환자의 평가 방법들은 그 근거가 부족하며 고려해야할 점들 또한 많다. 지금까지 발표된 연구 결과 및 가이드라인 등을 바탕으로 성인과 달리 소아에서 특별히 고려해야할 소아 외상환자의 초기 평가 방법 및 그에 맞는 초기 처치에 대해 알아본다. | |
소아 외상의 A B C | 이세욱 (성균관의대 응급의학과) |
소아 외상에서 eFAST의 실제와 효용성 | 서동범 (서울의대 응급의학과) |
소아 두부 외상의 평가와 CT | 김중헌 (아주의대 응급의학과) |
How to take good care of geriatric patients 노인환자 잘 보는법 | Session director 김효준(가톨릭의대 응급의학과) |
응급실에 내원하는 노인환자들은 초기 진단과 평가가 모호하여 어려움이 있고, 또한 중증 질환으로의 진행가능성이 높은 특징이 있다. 노인환자들의 평가와 진단 및 치료에 관해 정리해 보고자 한다. | |
Revisit of elderly patients in emergency department | 김건 (이화의대 응급의학과) |
응급실 노인환자 감염성 질환 | 임지용 (가톨릭의대 응급의학과) |
Non-specific Symptom in elderly | 김덕호 (을지의대 응급의학과) |
[전문의 필수평점] | |
의료윤리와 의료법 |
Session director 어은경(순천향의대 응급의학과), 유연호(충남의대 응급의학과) |
응급의학의 관점에서 의학전문직업성의 역사와 개념을 소개하고 비전문가적인 행동에 대한 사례와 이에 대한 교육 방법 등을 설명한다. 또한 비전문가적인 행동의 한가지 사례로서 '근무에 지장을 주는 의사'에 대한 정의와 지침을 소개하며, 응급의료인으로서 소셜미디어 사용에서 고려해야할 점 등에 대해 고찰한다. | |
Medical professionalism & Unprofessional behaviors 의학전문직업성과 응급의학 | 어은경 (순천향의대 응급의학과) |
Impaired physician 근무에 지장을 주는 의사 | 박경혜 (연세원주의대 응급의학과) |
Professional guidelines for social media use 응급의료인으로서 소셜미디어 사용에서 고려할 점 | 김찬웅 (중앙의대 응급의학과) |
응급의료종사자가 알아야 하는 "응급환자 정보보호" | 박지혜 변호사 (법무법인 유준) |